<aside> 💬 “문제는 사람들이 이미지를 통해 상기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적인 이미지 만을 기억에 새긴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미지를 통한 기억은 타인의 고통에 대해 다른 형태의 이해와 기억을 압도합니다.”  수전 손택 <타인의 고통>

우리는 TV / 뉴스 / 유튜브 광고, 또는 비영리단체들의 거리 펀드레이징 활동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세계가 대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이미지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중, ‘굶주림’, ‘식량 위기’, ‘영양부족’ 이 세 단어가 우리 마음 속에 떠올리게하는 이미지는 특히 더 처참하고 참혹합니다. 수전 손택의 저서 내용처럼, 언젠가부터 내재되어 온 이미지들은 우리가 현재의 세상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색안경을 끼우기도 합니다.

<팩트풀니스로 세상 이해하기> 2호에서 치보, 민가가 준비한 주제는 Zero Hunger : 식량 위기 입니다.

</aside>

<팩트풀니스로 세상 이해하기> 2호 - Zero Hunger : 식량 위기

Untitled

<aside> 💯 1. 일상적인 필요를 충족시킬만큼 충분한 식량을 섭취하지 못하는 인구는 몇 퍼센트 일까요? (2020년 기준) A. 전체 세계 인구의 약 11% B. 전체 세계 인구의 약 23% C. 전체 세계 인구의 약 37%

  1. 다음 중 건강에 위험할 정도로 저체중인 5세 미만 아동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일까요? A. 북아프리카 및 중동 B. 남아시아 C.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2. 아프리카에서 사람들이 섭취하는 식량 중 아프리카에서 생산되는 식량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A. 20% 미만 B. 약 50% C. 80% 이상

</aside>

어떠셨나요? 누군가에게는 정말 3개의 보기 중에 정답이 있을까? 라고 생각될 수 있는 문제지만, 국제개발협력에 기반을 둔 김치앤칩스 구독자분들께서는 나름의 제각기 선택의 이유를 가지고 문제를 풀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

위 문제들의 정답은 A. 전체 세계 인구의 약 11%, B. 남아시아, C. 80% 이상 이며, 각 문제의 오답률은 무려 78%, 85%, 76% 입니다. 오늘도 데이터를 통해 우리의 지식을 업데이트하러 가볼까요?


데이터를 파헤쳐보자

한스 로슬링의 갭마인더 재단은 1. 섭취할 수 있는 음식(Available food) 2. 아동의 체중과 키 (Body Weights and heights of children) 3. 극심한 빈곤(Extreme poverty) 3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0년 한 해 동안 식량을 충분히 섭취할 수 없었던 인구를 전 세계 11%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갭마인더 재단이 분석했던 2019년의 전 세계 인구의 9%(6억 9천만 명)라는 수치보다 2%가 증가한 추정치이지만, 오답률이 무려 78%에 달하는 첫 번째 문제에서 다수의 사람이 선택했던 C. 전체 세계 인구의 약 37%라는 수치보다는 다소 희망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는 기아와 영양실조의 문제를 떠올릴 때 자연스럽게 아프리카를 떠올립니다. 남아시아의 인도, 파키스탄과 같은 국가들이 사회적으로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는 뉴스는 부유한 도시 외곽 먼 시골 지역에 만연한 빈부격차와 빈곤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가립니다. 유엔아동기금 (UNICEF), 세계보건기구(WHO), 세계 은행(World Bank)이 협력하여 발행한 아동 영양실조 상태 보고서는 남아시아의 아동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약 6%)와 북아프리카 및 중동(역시 약 6%)의 어린이보다 저체중일 가능성이 두배 이상(약 14%) 높다고 추정합니다.

Untitled

구독자분들은 혹시 Food Security Information Network(이하 FSIN)라는 네트워크를 아시나요? 이 단체는 유럽연합, USAID,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유엔농업식량기구(FAO) 등 16개 기관과 협력하여 매년 전 세계 식량 위기 상황을 공동 합의 기반 보고서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 FSIN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2019년부터 세계 인구의 약 11%의 사람들이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고 추정되며, 이러한 위기는 크게 세 가지 이유: 1. 분쟁 및 정치 사회적 불안정, 2. 경제적 충격(Economic shocks), 3. 극한 기후 에서 기인하였다고 분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