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9, 2022
여러분은 스마트워치를 갖고 계신가요? 저는 스마트워치를 통해 심박수나 심전도, 수면기록을 체크하고 확인하곤 하는데요. 제가 일하는 곳에서도 이러한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신체건강을 예측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코로나19를 계기로 미국・중국・일본 등은 방역 차단에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원격의료에 대한 공적 보험 적용이 확대되고, AI 앱을 활용한 진단 등 원격의료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원격의료 서비스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이긴하나, 이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에 접근성이 낮은 사람들은 더욱 소외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어요. 오늘은 디지털헬스와 건강불평등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해요.
[출처 : https://www.techtarget.com/searchhealthit/definition/digital-health-digital-healthcare](https://lh6.googleusercontent.com/VfUU9CECwBvlvJ26KnUeHtTSJYYlilYa9xxdXR0cY1m1QAiPgsVwg8qI9ZnKhQaLa5tt5wJDMWYqZB5GhpvzonOsZkmPwvwEeLpGEESUuBhX86qxRcvPnZad78wPxCiz03xOSbQTu8_sVdbwZTlp3w)
출처 : https://www.techtarget.com/searchhealthit/definition/digital-health-digital-healthcare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인 디지털헬스케어(DigitalHealthcare)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의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과 헬스케어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의미해요.
출처 : 프로스트앤설리번, Global Digital Health Outlook(2020), 2019.8
출처 : 프로스트앤설리번, Global Digital Health Outlook(2020), 2019.8
글로벌 디지털 헬스 시장 규모는 2017년 기준 1,470억달러(약 180조원)이며, 연평균 12%로 성장하여 2023년 2,200억달러(약 27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에요. 이렇게 시장 규모가 확대될수록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의 정보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데요.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아요.🤨
[4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격차 현황 (출처 :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67)](https://lh5.googleusercontent.com/roQBwK3gkrTwGQW3PrY42zlRZykI5--DII639wmIRKZjCLKyjwqvNqMtYsxq9d26vxnCbnKHldBESg-LZ1E0sZOf_A2JvD2lchjThsAkdLFWPcZYkcnufuIZfFutOefTEneJvKBNXg-QxrRBqV_Brlo)
4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격차 현황 (출처 :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