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개협 무물 오늘의 질문입니다.
국개협 업계에는 정말 석사, 박사가 많더라고요. 저도 학위를 취득해야 하나 고민을 계속하게 됩니다. 주니어 이상급 실무자 분들 중에 커리어 하시면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신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석박사 진학 동기는 무엇이었는지, 학위 취득 후 과거의 고민이 조금 사라지셨는지 혹은 다른 고민이 생기셨는지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by 프로출퇴근러님(35세, 국개협 실무자)
국제개발협력 업계에서 커리어를 쌓으며 석박사 학위과정을 경험한 자문단에게 물었습니다!
🅰️ 한없이 5급 전문가로 머물러야 하는 처지, 공부를 더 해보고 싶었던 옛 기억, 발주처로부터 연구원으로서 인정받지 못했던 경험 등이 합쳐져서 국제개발 쪽 석사를 하게 되었는데요. 석사 취득 후 달라진 점이 엄청 크진 않지만, 자신감도 생기고 인맥도 넓어진 점, 그때 배운 지식과 실무를 결합해서 중간을 지킬 수 있는 점이 좋았습니다. 지금은 교수의 꿈을 키우며 박사 과정 중입니다. (고래/30대/만 13년 차/석사 졸업, 박사 중)
🅰️ 경력직을 많이 뽑는 이 업계에서 석사학위가 경력으로 인정되는 상황이니, 젊을 때 석사를 따놓으면 좋다고 생각해서 진학했어요. 하지만 실제 석사 과정을 하다 보니 실무 경험을 갖고 더 구체화된 전공으로 석사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 싶은 후회가 들더라고요. 커리어 개발을 위해서라면, 스스로 어떤 전문성을 갖고 싶은지 꼭 미리 고민해서 시작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달덩이/20대/3년 차/국제개발학 석사)
🅰️ 전문성 없이 프로젝트 관리를 해야 했던 주니어 시절을 겪으며 나만의 전문성을 고민했었습니다. 커리어 도중에 풀타임으로 젠더 석사과정을 마쳤고, 현재는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성평등 관련 국제기구에 근무하며 만족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학위를 위한 공부보다는 본인이 원하는 커리어 패스나 분야 전문성에 적합한 공부가 무엇인지 잘 고민하고 선택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구르는 돌/국개협 9년 차 국제기구 근무/석사)
🅰️ 원래 국개협 분야에서 일했던 게 아니기도 하고 전공도 달랐어서, 이 분야 기초를 알고 싶어 풀타임 국제개발협력학 석사를 취득했는데요, 실제로 일하다 보니 굳이 석사부터 할 필요 없이 현장 실무를 해보고 결정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이 분야에 오래 종사할지에 대한 고민과 전공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고, 취업시장에서는 석사가 있더라도 (경력이 없으면) 학사들과 동일선상에서 시작하더라고요. (익명/20대/휴직/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