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개협 무물 오늘의 질문입니다.
(미뇽님) 대학교 졸업 후 사업 수행기관 YP를 마쳤습니다. 이어서 해외사무소와 재외공관 YP에 지원했는데 안타깝게 좌절되었어요. (개협 꿈나무님) 저도 국내에서 인턴을 하고 NGO로 가고 싶었는데, 대부분의 NGO에서 1년 이상의 경력자를 원하고 있어서 지원하기가 애매해요. 인턴(YP) 이후의 커리어는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혹시 국개협 주니어에세 추천해주실 만한 다음 경로가 있으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by 미뇽님(취업준비생) 및 익명의 개협 꿈나무님
인턴(YP) 후 커리어를 쌓아본 경험을 가진 자문단과 커리어 개발에 대한 조언을 해주실 선배들의 응답을 모아봤습니다!
🅰️ 국내 YP를 마친 후 NGO 신입 공채로 입사했어요. 대부분의 NGO가 경력을 갖춘 신입을 원하지만, 저는 우대 경력기간을 충족하지 못해도 직무가 제게 맞다고 판단되면 모두 지원했습니다! 대신 직무와 관련된 경험은 충분히 어필해서 자소서를 준비했어요. (국내 YP 7개월 후 NGO 신입 입사/2년 차)
🅰️ 저는 YP로 일하면서 다양한 기관의 성격, 분야 등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진 게 좋았어요. 결국 전문성을 기르고 싶어서 석사과정에 진학했고 지금은 석사를 마치고 국제보건 분야 NGO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인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방향성을 생각해 보고 주변에 비슷한 길을 걸은 사람들의 조언을 구해보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마샬/국내YP 및 석사 후 국제보건 NGO 입사)
🅰️ NGO를 통해 PO 직급으로 해외파견 나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채용 조건에 1년 경력 이상이라고 되어 있어도, 면접 후 충분한 역량과 열정이 있다고 판단되면 채용될 수 있답니다. :) 그 후 얼마든지 원하시는 곳에 가실 수 있을 거에요! (국내 YP 후 NGO 해외파견 → 신입 입사)
🅰️ 짧은 시간이지만 인턴 기간 중 스스로를 충분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자신의 강점과 약점, 국개협 분야와의 궁합, 내가 좋아하는 것과 부족한 점 등을 찾아보고 일하던 기간을 되돌아보며 어떤 방향으로 나갈지 고민해보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핑키/30대/YP 경험 x, but 채용 O)